김현수, 3번의 FA로 255억원…KBO리그 다년 계약 총액 4위
(서울=연합뉴스) 김현수가 25일 kt wiz와 FA 계약을 한 뒤, 수원 케이티위즈파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kt wiz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시련 속에 자란 김현수(37·kt wiz)가 KBO리그 역대 네 번째로 자유계약선수(FA) 또는 비FA 계약으로 총액 250억원을 돌파했다.
김현수는 25일 kt와 3년 50억원(계약금 30억원·연봉 총액 20억원)에 FA 계약을 했다. 50억원 모두 보장액이다.
미국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2018년 4년 115억원에 LG와 KBO리그 첫 FA 계약을 한 김현수는 2022시즌을 앞두고 LG와 4+2년 최대 115억원에 잔류 계약을 했다.
'연장 계약 조건'을 채우지 못한 김현수는 2025시즌이 끝난 뒤 다시 FA 시장에 나왔고, kt에 둥지를 틀었다.
두 번째 FA 계약에서 실제 수령한 금액이 90억원이어서, 김현수가 세 번의 FA 계약으로 받는 총액은 255억원이다.
신일고 시절 이영민 타격상을 받고 청소년 대표팀으로 활약한 김현수는 한국프로야구 구단의 지명을 받지 못해 신고 선수로 두산 베어스에 입단했다.
2006년 1군에서 단 한 타석만 섰던 김현수는 2007년 조금씩 1군 무대에 얼굴을 내밀었다.
기회를 주면, 김현수는 안타로 화답했다. 그리고 2008년 타율 0.357로 타격 1위에 올랐다.
'타격 기계'라는 별명을 얻은 김현수는 2015시즌이 끝난 뒤 FA 자격을 얻어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메이저리그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2년 700만달러에 계약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수가 25일 프로야구 kt wiz와 자유계약선수(FA) 계약을 한 뒤, 경기 수원 케이티위즈파크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kt wiz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2년의 미국 생활을 마치고 KBO리그로 돌아온 김현수는 LG에서 8시즌 동안 뛰었다.
LG에서 보낸 8년(2018∼2025년) 동안 김현수는 KBO리그 최다인 1천90경기에 출전해 타율 0.306(5위)을 올렸다. 안타는 1천238개로, 이 기간 1위 전준우(1천244개·롯데 자이언츠)에 이은 2위였다.
김현수의 KBO리그 통산 성적은 2천221경기, 타율 0.312, 261홈런, 1천522타점, 1천256득점이다.
두산 소속이던 2008년과 LG 유니폼을 입고 뛴 2018년에는 타율 1위에 올랐다.
올해 한국시리즈(KS)에서는 17타수 9안타(타율 0.529), 1홈런, 5볼넷, 8타점을 올려 처음으로 KS MVP를 차지했다.
성실함으로 무장한 김현수는 'LG 선수단 문화를 바꾼 선수'로도 평가받는다.
염경엽 LG 감독은 젊은 선수들에게 "김현수를 보라. 많은 걸 이루고도 자기 관리를 철저히 한다. 가족에게 더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싶다면, 김현수처럼 해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kt도 여전히 뛰어난 타격 능력과 철저한 자기 관리를 보며 김현수 영입에 공을 들였다.
김현수는 30대 후반에도 다년 계약을 하며 KBO리그 FA, 비(非)FA 총액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대구=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13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리그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3차전 SSG 랜더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 4회초 2사 주자 2루 상황에서 SSG 최지훈의 안타 때 최정이 득점 후 동료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 2025.10.13 [email protected]
KBO리그에서 다년 계약으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선수는 내야수 최정(SSG 랜더스)이다.
최정은 세 번의 FA 계약에서 총액 302억원을 찍었다.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프로야구 두산 베어스 포수 양의지가 지난 24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 월드에서 열린 2025 KBO리그 정규시즌 시상식에서 타격왕 트로피를 받은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11.25 [email protected]
다년 계약 총액 2위(277억원)는 두산 포수 양의지다.
양의지는 2019년 NC 다이노스와 4년 125억원에 FA 계약했고, 4년 뒤인 2023년 두산으로 돌아오며 4+2년 152억원의 새로운 FA 계약을 했다.
왼손 에이스 김광현(SSG)은 KBO리그에서 한 번의 FA 계약, 두 번의 비FA 다년 계약을 해 2027년까지 최대 257억을 수령한다. KBO리그 다년 계약 총액 3위다.
FA 시장에 나온 포수 강민호는 세 번의 FA 계약으로 191억원을 벌었고 네 번째 FA 계약으로 200억원 돌파를 예약했다.
◇ KBO리그 통산 다년계약(FA, 비FA 포함) 수입 순위(25일 현재)
| 선수(현 소속) | 총액 | 계약 내용 |
| 최정(SSG) | 302억원 | 2015년 4년 86억원, 2019년 6년 106억원 2025년 4년 110억원 |
| 양의지(두산) | 277억원 | 2019년 4년 125억원, 2023년 4+2년 152억원 |
| 김광현(SSG) | 257억원 | 2017년 4년 85억원(수령은 3년 70억원) 2022년 4년 151억원 2026년 2년 36억원 |
| 김현수(kt) | 255억원 | 2018년 4년 115억원 2022년 4+2년 115억원(수령은 4년 90억원) 2026년 3년 50억원 |
| 강민호(삼성) | 191억원 | 2014년 4년 75억원, 2018년 4년 80억원 2022년 4년 36억원 |
| 이대호(롯데) | 176억원 | 2017년 4년 150억원, 2021년 2년 26억원 |
| 류현진(한화) | 170억원 | 2024년 8년 170억원 |
| 최형우(KIA) | 169억원 | 2017년 4년 100억원, 2021년 3년 47억원 2024년 최대 2년 22억원 |
| 손아섭(NC) | 162억원 | 2018년 4년 98억원, 2022년 4년 64억원 |
| 나성범(KIA) | 150억원 | 2022년 6년 150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