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병혁의 야구세상] 루 게릭과 칼 립켄이 떠난 그라운드, 기록의 가치는 변한다

[천병혁의 야구세상] 루 게릭과 칼 립켄이 떠난 그라운드, 기록의 가치는 변한다

링크핫 0 176 2022.06.13 11:00
루 게릭
루 게릭

[MLB.com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천병혁 기자 = 미국 현지 시각으로 지난 2일은 메이저리그(MLB)가 지정한 '루 게릭 데이'였다.

루 게릭은 익히 알려진 대로 20세기 초반 베이브 루스와 함께 뉴욕 양키스의 전성기를 일구며 연속경기 최다 출장기록을 세웠던 위대한 선수다.

그는 1925년 6월 2일부터 1939년 5월 2일까지 2천130경기에 연속 출장하며 '철마(Iron Horse)'라고 불렸다.

물론 실력도 대단했다.

통산 타율 0.340, 493홈런, 1천995타점을 기록하며 두 차례나 리그 최우수선수(MVP)로 뽑혔다.

하지만 게릭은 안타깝게도 근위축성측색경화증(ALS, 일명 '루게릭병')이라는 희소병에 걸려 연속 경기 출장기록을 중단하고 그라운드를 떠나야 했다.

게릭은 은퇴 2년 후 세상을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지만 오랜 시간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야구선수로 남았다.

2007년 명예의 전당에 오른 칼 립켄 주니어
2007년 명예의 전당에 오른 칼 립켄 주니어

[EPA=연합뉴스]

게릭이 세웠던 연속경기 출장 기록은 56년이 지난 1995년 9월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주전 유격수 칼 립켄 주니어가 경신했다.

'철인(Iron Man)'으로 불렸던 립켄이 게릭의 출장 기록을 한 게임씩 따라잡기 시작하자 당시 언론들이 매일 속보를 내보낼 정도로 미전역이 떠들썩했다.

뼈가 부러진 상태에서도 경기에 출장했던 립켄 역시 근면과 성실, 투혼의 대명사로 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선수 중 한 명이었다.

칼 립켄은 연속경기 출장 기록을 2천632경기까지 늘렸다.

게릭과 립켄의 연속경기 출장 기록은 20세기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위대한 기록 중의 하나로 간주한다.

그러나 현대 야구에서는 더는 추구하는 기록이 아니다.

이제는 무리하게 한 시즌 162경기를 전부 출장하는 것보다 피곤할 때는 잠시 경기에서 빠져 컨디션을 조절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칼 립켄은 최근 인터뷰에서 "지금 선수들은 이제 연속경기 출장 기록에 도전하지 않는다"라며 "야구에 대한 생각과 가치관이 변한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위트 메리필드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위트 메리필드

[AP=연합뉴스]

지난해 메이저리그에서 162경기를 완주한 선수는 위트 메리필드(캔자스시티 로열스)와 마커스 시미언(당시 토론토 블루제이스) 2명뿐이었다.

이 중 2018년 6월 25일부터 경기에 빠지지 않고 있는 메리필드는 현역 선수 중 최장인 528경기 연속 출장 중이다.

게릭이나 립켄과는 견줄 수 없는 그의 기록은 역대 순위에서도 30위에 불과하다.

KBO리그에서 연속경기 출장기록 1위는 최태원 삼성 라이온즈 코치가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세운 1천9경기이다.

하지만 이 역시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연속 경기 출장을 진행 중인 현역 선수 중 1위는 kt wiz의 중견수 배정대다.

배정대는 2019년 9월 20일 롯데전부터 356경기에 연속 출장 중이다.

배정대가 최태원의 기록을 깨려면 2026시즌까지 한 경기도 빠지지 않고 뛰어야 한다.

kt wiz 배정대
kt wiz 배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

아니 굳이 그럴 필요도 없다.

지금은 연속경기 출장기록보다 주전들의 컨디션 조절이 선수는 물론 팀에도 훨씬 큰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야구에서 오랜 세월 선수들을 평가하는 잣대였던 타율과 홈런, 타점, 평균자책점 등이 이제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

세이버메트릭스를 통해 탄생한 OPS(출루율+장타율)나 wOBA(가중 출루율), WHIP(이닝당 출루 허용률), WAR(대체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등이 선수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더욱 효율적인 기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일부 올드팬들에게는 불편한 현실이 될 수 있지만 20세기에 존재했던 야구에서의 가치가 21세기 들어 달라졌기 때문이다.

예전 기록의 가치가 퇴색하고 새로운 기록과 가치가 도입되는 것은 야구의 또 다른 발전이라고도 평가해야 할 것이다.

[email protected]

Comments

번호   제목
13315 태국 짜이디, 아시아 선수 4번째로 PGA 챔피언스 투어 우승 골프 2022.06.13 309
13314 캐나다오픈 2연패 매킬로이, 남자 골프 세계 3위 도약 골프 2022.06.13 309
13313 [프로야구] 14일 선발투수 야구 2022.06.13 170
13312 김하성, MLB닷컴 선정 '돋보이는 빅리그 2년차' 야구 2022.06.13 160
13311 '두산 불펜진의 리더' 홍건희 "마무리 자리도 적응 중" 야구 2022.06.13 156
13310 K리그1 수원, 슈퍼매치서 '도이치모터스 슈팅 챌린지' 등 행사 축구 2022.06.13 283
13309 벤투호 상대할 우루과이 신성 누녜스, 큰 무대로…리버풀행 임박 축구 2022.06.13 284
13308 동해 망상골프장 조성사업 탄력…7월부터 인허가 착수 골프 2022.06.13 294
13307 PGA와 의리 지킨 매킬로이, 3년 걸려 캐나다오픈 2연패(종합) 골프 2022.06.13 314
열람중 [천병혁의 야구세상] 루 게릭과 칼 립켄이 떠난 그라운드, 기록의 가치는 변한다 야구 2022.06.13 177
13305 [프로야구전망대] SSG, 40승 선착 눈앞…2위 키움은 맹렬하게 추격 중 야구 2022.06.13 179
13304 최혜진, LPGA 신인상 부문 선두 도약…숍라이트 우승은 헨더슨(종합) 골프 2022.06.13 287
13303 토론토 몬토요 감독 "류현진 복귀 시점…아직 알 수 없어" 야구 2022.06.13 161
13302 '역전의 명수, 군산상고'의 전설과 감동을 만나다 야구 2022.06.13 167
13301 A매치 21경기 만에 20골…노르웨이 이끄는 2000년생 홀란 축구 2022.06.13 291